1. 항공기 정비방식
# 계획정비 : 결함 유무 관계없이 주기마다 반복하는 정비
# 비계획정비 : 비행 중 발생한 결함이나 계획정비 시 발견된 결함을 수정
(예를 들어 비행 후 점검 중 타이어 손상을 발견해 타이어를 교체)
# 정비의 목적 : 감항성 / 정시성 / 쾌적성 / 경제성
가. 비행전후 점검, 주기점검(A,B,C,D, 등)
1) 운항정비작업 : 운항상태일 때 현장 교환가능 부품교환, 간단한 수리, 반복적인 점검
① 비행 전 점검(PR, Pre-flight check)
: 첫 비행 전 출발태세 확인 / 기체 청소, 탑재물 하역, 기체 액체 보급 및 상태 확인, 연료량 확인, 경미한 결함 교정, 타이어 공기압, 착륙장치, 피토관, 안테나 등
② 비행 후 점검(PO, Post-flight check)
: 마지막 비행 후 점검 / 기체 청소. 탑재물 하역, 기체 액체 보급 및 상태 확인, 비행 중 발생한 결함 교정
③ 중간 점검(transit check)
: 다음 목적지로 가기 전 출발태세 확인 / 기체 액체 보급 및 상태 확인, 항공기 외부 검사
④ 주간 점검(Weekly check)
: 7일마다 점검 / 항공기 내외 손상, 누설, 부품 손실, 마모 상태 점검
2) 정시점검 : 일정 주기마다 항공기를 점검
① A check : 기체 청소, 기체 액체 보급 및 상태확인, WAI, 결함 교정, 특별장비 육안점검 / 200~300 시간, 400~600 시간
② B check : 장비품 상태 및 작동 점검, 엔진 관련 점검 / 6~8 개월
③ C check : 제한된 범위 내 기체 구조와 계통 검사, 계통 및 구성품의 작동 점검, 계획된 보기 교환 / 20~24 개월
④ D check : 기체 구조 점검, 오버홀, 장비품 엔진 착륙장치 장탈해서 점검, 도장 / 6~10년
⑤ ISI (Internal Structure Inspection) : 감항성에 일차적인 기체 내부 구조 검사 / 표본검사(신뢰도 검토, 판단)
⑥ CAL(주기점검) : 밑에 설명
나. Calender 주기, flight time 주기
1) Calender 주기 : 주기점검은 A~D에 속하지 않는 정비요목 / 고유 비행시간, 비행횟수, 날짜 주기마다 점검
2) Flight time 주기 : 비행시간 기준으로 점검
① Flight time : 자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시각 ~ 목적지에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
블럭타임에서 그라운드(택싱 등)타임을 제거한 시
= Block time : 고임목 제거하고 비행 후 고임목 설치까지 / 티켓 명시 / 승무원 근무시간
② Time in service : 이륙 ~ 착륙 / 점검 주기나 부품 수명 계산은 이 시간 기준
# 운항정비 / 기지정비(중정비) / 공장정비
1) 운항정비 : 비행 전후 점검, 중간 점검, 주간 점검, A B check
2) 기지정비 : C D check
3) 공장정비 (보기류)
① 벤치체크 : 장탈한 구성품의 작동, 기능을 시험장비로 점검
② 수리 : 고장이나 파손된 상태를 원 상태로 회복
③ 오버홀 : 분해, 세척, 수리, 교환, 조립, 시험 단계로 사용 시간을 0으로 환원
# Caution, Warning, Note
1) Caution : 주의하지 않으면 장비가 손상될 수 있다
2) Warning : 주의하지 않으면 사람이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다
3) Note : 강조하거나 보충
2. 부분품 정비방식
가. 하드타임(Hardtime) 방식
: 시한성정비로 설정한 사용시간 한계에 도달하면 수리, 교환, 오버홀 시행
/ 신뢰성 확보 가능하지만 낭비, 강제 장탈착의 고장 발생 가능
나. 온컨디션(On condition) 방식
: 상태정비로 장착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태점검해 감항성 입증되면 다음 주기까지 사용하고 결함 발견 시 수리나 교환
/ 하드타임의 단점 보완(시간, 비용 절약 가능)
다. 컨디션 모니터링(Condition monitoring) 방식
: 신뢰성 정비로 감항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않는 항목에 사용하며 지속적으로 감시해 성능이 일정 수준을 벗어나면 원인을 찾아서 제거
/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시간, 비용 절약
라. MSG(Maintenance Steering Group)
: 항공기를 효율적으로 정비해 비용을 최소로 하는 정비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 기법
1) MSG-1 : B747-100 정비를 위해 개발 / HT, OC
2) MSG-2 : 다른 항공기에 적용하기 위함 / HT, OC, CM / 상향식
3) MSG-3 : 현재 대부분 사용 / 2보다 15~25% 비용 감소 / 정비요목 LU&SV, OPC, VC, IN, FC, RS, DS / 하향식
3. 발동기 정비방식
가. HSI(Hot section inspection)
: 높은 열을 받는 부분을 일정 주기마다 점검
1) Combustion
① 보어스코프로 내부 검사해 균열, 그을림, 열점현상 발견 시 엔진 분해 수리
② 점화플러그에 탄소 찌꺼기, 균열 시 교체
③ 연료노즐의 분사 상태 확인 / 문제 시 열점현상 발생, EGT 비정상 상승으로 과열시동 위험
2) Turbine (vane, blade)
① 터빈깃 간격측정, 깃 외부 손상점검
② 경미한 손상은 블렌딩 수리
③ 한계 이상의 찍힘, 찌그러짐은 교환
④ 허용 개수 이상은 새 터빈 어셈블리로 교환
⑤ Creep : 열과 원심하중에 의해 늘어나는 현상
3) Exhaust
① 고온으로 인한 비틀림, 균열, 열전쌍식 온도계 작동 점검
나. CSI(Cold section inspection)
: 높은 열을 받지 않는 부분
1) Air intake
① 육안으로 IGV, 케이스 주변 뒤틀림, 균열, 변형
② 압축기 전방 윤활유 누설
2) Compressor
① 보어스코프로 블레이드 블렌딩 혹은 교환
② 실속방지 위한 VBV, VSV 작동 점검 후 이상 시 리깅
3) diffuser
① 균열 검사
'항공기 기체 및 발동기 > 1. 법규 및 관계규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. 정비 작업 범위 (3) | 2024.07.14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