항공기 기체 및 발동기/3. 항공기 정비작업

마. 착륙 장치 계통(ATA 32 Landing gear)

2-percent-o 2024. 7. 18. 22:40

1) 착륙장치

가) 메인 스트러트(main strut or oleo cylinder)의 구조 및 작동원리

1) 착륙장치 역할 : 착륙 시 충격 흡수, 지상 시 항공기지지, 조향
① 목적에 맞게
- 육상
- 수상
- 수륙양용
② 위치에 맞게
전륜식 : 조종사 시야 넓고 전복위험 적음
후륜식
③ 바퀴 수
- 단일식
- 이중식
- 보기식
2) 구성
① 트러니언 : 랜딩기어와 기체구조물 장착해주는 구조물
② 트럭빔 : 바퀴, 휠 어셈블리 장착 구조물
③ 쇼크 스트럿 : 외부 실린더, 내부 실린더 구성에 충격 흡수
④ 토션 링크 : 상부 실린더, 하부 실린더에 붙어 실린더가 돌아가지 않도록 정렬
⑤ 드래그 스트럿 : 앞, 뒤 방향의 하중 지지
⑥ 사이드 스트럿 : 좌, 우 방향의 하중 지지
⑦ 시미 댐퍼 : 시미 현상 잡아줌(주행 중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)
⑧ 제동 평형 로드(브레이크이퀄라이저로드) : 제동 시 관성에의해 뒷바퀴 들리는 것 방지
⑨ 센터링 캠 : 앞 착륙장치가 휠웰에 들어가도록 정렬
⑩ 다운 락 액츄에이터 : 착륙장치 내렸을 때 드래그 스트럿, 사이드 스트럿이 지상에서 접히지 않게 고정

3) 완충장치
① 고무식 : 50%
② 평판 스프링식 : 50%
③ 공기압축식 : 47%
④ 올레오식 : 75%
- 오리피스와 미터링핀의 비압축성 충격흡수 1차, 질소 압축 충격흡수 2차
- 상부 실린더(질소) + 오리피스
- 하부 실린더(작동유) + 미터링 핀

 4) 작동 순서 (유압이용)
① L/G Lever down(셀렉밸브)
② 지시등 red
③ Up lock(접혀있는게 펴지지않게) release & wheel well open 
④ 시퀸스v/v에 의해 L/G Down(오리피스체크밸브가 천천히 내려오도록 함)
⑤ Down lock
⑥ 지시등 green
⑦ wheel well door close
5) 안전 스위치
① 스퀴드 스위치 : 지상에서 착륙장치 수축하면 스위치 열려 기어 고정
② 그라운드 락 : 기어가 접히지 않게 핀 장착

나. 작동유 보충시기 판정 및 보급방법

1) 착륙장치 작동유 보충
내부실린더가 밖으로 빠져나온 길이를 보고 판단
2. 방법
① 착륙장치 그라운드 락
② 작륙장치 레버 DOWN 위치
③ 공기밸브를 풀어 질소 빼
④ 내부실린더 완전 들어올려 압축 후 작동유 나올때까지 보충
⑤ 압축 질소 보충해 dimension X 맞춤
⑥ 공기밸브 규정토크로 조여

2. 제동계통

가. 브레이크 점검(마모 및 작동유 누설)

1) 작동장치
① 독립 브레이크 계통 : 소형 저속 / 항공기 유압계통에 연결x 독립 작동
② 파워 브레이크 계통 : 대형 / 항공기 유압계통에 연결되어 작동
2) 기능
① 정상 브레이크
② 비상 브레이크 : 모든 계통 고장 시 
③ 파킹 브레이크 : 일시적으로 주기할 때 사용
④ 자동 브레이크 : 착륙 시 자동으로 압력 가함
3) 형식
① 싱글 디스크 : 소형기 /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 밀어 마찰로 속도 줄여
② 멀티 디스크 : 대형기 / 압력판 밀어서 로터, 스테이터 모두 마찰
③ 세그먼트 로터 디스크 : 멀티디스크에서 로터가 여러조각 난 것으로 마찰열 방출, 고장 시 경제적
④ 카본 디스크 : 가볍고 높은 열 견디고 빨리 발산하고 수명 길다 / 비싸다



나) 브레이크 작동 점검

1) 작동 점검
① 마모
- 고정핀 꽃고 고임목 하고 파킹 브레이크 건다
- 마모지시핀 : 마모될수록 핀이 안으로 들어가있음(디멘션 엘) / 브레이크 브라켓과 평행하면 교환
- 디스크와 하우징 사이 측정
- 압력판 뒷쪽과 하우징 사이 측정
② 누설
- 주로 피팅에서 발생

- 3000+- 200psi
- 압력 제거해 피팅 분리하고 교체
- 5회 밟고 나서 미작동 시 1분당 1방울 / 작동 시 1분당 5방울
③ 현상
- 드래깅 : 페달 놔도 라이닝, 디스크가 붙어있음 / 리턴 스프링 약해지거나 공기 열팽창 / 블리딩 작업 필요
- 그래빙 : 라이닝이나 패드에 이물질 때문에 제동 효과 감소
- 페이딩 : 라이닝이나 패드에 과열 때문에 손상되어 제동 효과 감소
- 스펀지 : 브레이크 계통에 공기가 차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음 / 블리딩 작업 필요
④ 블리딩 작업 : 계통 내에서 블리드 포트로 공기가 나오지 않을 때 까지 작동유를 보급한다

- 중력식 : 보통 사용하며 브레이크를 밟아서 마스터실린더를 통해 작동유가 하우징 움직이게 해 하우징 내에 에어를 방출
- 가압식 : 하우징에 압력호스 연결해 마스터실린더로 에어 배출
⑤ 작동점검
- 이카스에서 3000+100psi인지 확인
- p1패널에서도 3000+100psi인지 확인
- 기장이 패달 밟고 실제 브레이크압과 p1패널 동일한지 확인
- 밟았을때, 놓았을때 누설 확인
- 놓았을 때 75psi
- 부기장 동일하게 시행

2) 안티 스키드 시스템
① 착륙 시 바퀴의 미끄러짐 방지
② 유압시스템 귀환라인의 압력을 잠깐씩 끊어 바퀴를 회전시켜 미끄러짐 방지
3) 구성
① wheel speed sencor : 각 바퀴 속도 측정
② control unit : 에비오닉 베이에 있고 신호 감지 및 분석해 밸브작동
③ anti skid control valve : 브레이크 압력 조절
4) 기능
① normal skid control : 랜딩 후 abs와 같이 미끄러지지 않게 함 
② touch down protection : 착륙 전 공중에서 브레이크 잡히지 않게 함
③ locked wheel protection : 앞뒤바퀴 회전수 맞춤
④ fail safe protection : 안티스키드 실패 시 수동으로 작동
*오토브레이크 : 터치다운 후 미리 세팅한 값으로 제동력을 가해줌

다. 랜딩기어에 휠과 타이어 부속품제거, 교환 장착

퓨즈 플러그 : 과열로 압력이 과도히 높을 때 녹아서 압력 배출 / 타이어 터지는 것 방지 / 육안검사

3. 타이어계통

가. 타이어 종류 및 부분품 명칭

1) 종류
① 튜브 
② 튜브리스 : 이너 라이너를 붙여 림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만듦, 펑크나도 공기 빠르게 안 빠짐, 열 발산 좋음 / 림에 변형 생기면 공기 누설

2) 부착에 따른 분류

① 바이어스 플라이 : 플라이를 회전방향 대각으로 놓음 / 수명 짧음
② 레디얼 플라이 : 플라이를 회전방향 90도로 놓음 / 높은 하중 받고 열 감소에 좋아 대형기 사용 / 비싸
3) 타이어 규격
49 x 19 - 22 32
타이어 직경 49
타이어 폭 19
휠 직경 22
플라이 수 32
4) 구성 
① 트레드 : 지면과 닿는 부분
② 그루브 : 트레드에서 홈
③ 브레이커 : 외부충격 완화, 열방출
④ 카커스(코어바디) : 플라이를 여러 층 쌓아 타이어 골격을 만듦
⑤ 사이드월 : 카커스 보호, 타이어 정보 표시
⑥ 와이어 비드 : 카커스를 고정하고 타이어 휠에 단단히 장착시킴
⑦ 체이퍼 : 장탈 시 와이어 비드 손상 보호

 

나. 마모, 손상 점검 및 판정기준 적용

1) 폐기
① 플라이 40% 이상 절단
② 사이드월과 비드에 절단, 균열
③ 이너라이너 접힌 흔적
2) 교체
① 매우 낮은 공기압에서 사용
② 장시간 방치해 지면 접촉면 변형
③ 길이 1/2in, 깊이 1/3in 절단된 타이어
④ 트래드 깊이 1/16in까지 마모되었을 때 
3) 손상점검
① 마모 : 전체의 1/8
② 균열
③ 절단
④ 부풀어오름
⑤ 박리
플랫 스폿
⑦ 공기 누설 : 구멍 3/8in 이하만 허용
⑧ 플라이가 노출되면 사용 불가
⑨ 뎁스게이지로 마모 확인, 웨어 인디케이터 

다. 압력 보충 작업(사용 기체 종류)

1) 압력 보충
① 압이 높으면 트레드 중앙 마모
② 압이 낮으면 사이드월 마모
③ 매뉴얼 참고
④ 목적지의 온도를 기준으로 공기압 보충
⑤ 질소보틀 - 프레셔 게이지 - 인플렉션 밸브 연결해 질소 보급
⑥ 비눗물로 누설 검사
2) 질소 : 불활성기체로 폭발, 결빙 방지
3) 측정시기
① 매일 측정
② 비행 전 6시간 이내
③ 하절기 비행 후 최소 3시간 지난 후
④ 동절기 비행 후 최소 2시간 지난 후
⑤ 보관 시 최소1주 1회
4) 압력확인
① Pressure gauge : 인플랙션 V/V에 장착해 측정
② TPIS : 휠에 장착된 센싱라인이 측정해 EICAS에 지시

라. 타이어 보관

1) 타이어 보관
① 시원 건조 어둡 통풍 한 곳
② 석유화합물과 격리
③ 랙에 세워 보관, 랙 없으면 작은 것 5개 큰것 4개 이상 겹치지 않기
④ 습기 오존 x 고무 수명 줄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