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연료보급
가. 연료량 확인 및 보급절차 체크
1) 연료량 확인
① 정전용량 식 : 공기와 연료의 유전율을 통해 부피를 구하고 비중을 곱해 무게를 측정
② 기계식 플로트 : 플로트가 기계적으로 연결돼 유면을 따라 지침이 움직임
③ 전기식 플로트 : 플로트 변위를 가변저항기에 연동시켜 지침을 움직임
④ 사이트게이지 : 눈으로 확인
⑤ 딥 스틱 : 길고 얇은 강철 와이어를 탱크에 삽입했다 뺌
2) 연료 유량계
① 엔진의 연료사용량 지시
② 조종사가 엔진성능 확인
③ 비행 계획 계산
④ 항공기는 Pound.Kg 무게단위 / 연료는 Gallon.L 부피단위 : 고도에 따른 부피변화
3) 연료 온도 게이지
① 연료필터에서 결빙될 만큼 낮을 때 알려줌
4) 연료 압력 게이지
①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확인
② 엔진구동펌프 연료압력 지시
5) 급유 주의사항
① B급 화재 소화기 배치
② 3점 접지
③ 착륙장치 안전핀, 고임목
④ 밀폐된 공간 x
⑤ 작업자 정전기 방지 옷, 보호구 착용
⑥ 아크 때문에 전기, 전자계통 작동 x
6) 급유 방법
① 날개 위 급유 : 소형기 동체 윗면 주입구에 중력으로 급유
② 가압 급유 : 대형기 연료탱크 밑 연료보급포트에 가압급유
③ Cross feed v/v : tank to tank로 균형을 맞춤
6) 급유 절차
① FQI 확인
② Fuel cap 제거 후 hose 연결
③ FQI 패널에서 오토매틱 스위치 ON
④ 각 탱크에 컴퓨터가 자동으로 shutoff v/v 여닫으며 균등히 보급
⑤ 다 보급하면 오토매틱 스위치 OFF
7) 배유
① 항공기 내 승압펌프를 이용한 압력식
② 외부 펌프를 이용한 흡입식
나. 연료의 종류 및 차이점
1) 연료 종류
① Avgas : 왕복엔진
- 데토네이션 방지를 위한 4에틸납 함유
- 폭발 저지하는 이소옥탄 80%, 폭발 일으키는 정헵탄 20%
- 80 / 레드
- 100 / 그린
- 100LL / 블루 / 납 함유량이 낮다는 LL / 현재 가장 많이 사용
② 케로신 : 가스터빈
- Jet A : 케로신 / 어는점 -40
- Jet A-1 : 케로신 / 어는점 -47
- Jet B : 케로신+가솔린=와이드컷 / 어는점 -50 / 추운지방
③ 기타
- 연료를 가열하는 이유 : 고고도에서 연료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필터 막음
- 고고도는 끓는점 낮아져 연료가 잘 기화됨 / 생긴 수분은 탱크 하부 섬프에 모임 / 드레인 밸브로 배출
- 불순물은 연료 보급 30분 후 WAI에서 섬프 드래인하여 테스트킷으로 검사, 수분 제거 함
- 첨가제 : 미생물 살균제, 부식 방지제, 산화 방지제, 정전기 방지제, 금속 불활성제, 빙결 방지제
④ 현상
- Detonation : 압력, 온도가 임계점 이상이 되어 노킹을 동반한 이상폭발
원인 : 낮은 옥탄가, 희박 연료비, 높은 압축비
- 안티 노크 : 노킹 방지를 위한 옥탄값을 올린 가솔린
- Vapor lock : 연료튜브 내 연료의 증발로 기포가 발생해 엔진에 공급량 감소
방지 : 기화성 낮은 연료, 부스터 펌프 이용
- 조기점화 : 실린더 내부 과열로 혼합기가 점화시기 이전 연소 시작
- 퍼포먼스 수 : 옥탄가 100 연료에 안티노크제 사용 / 1.3배의 출력을 얻으면 130의 퍼포먼스 수
2) 연료계통 흐름
① 기체연료계통 : 연료탱크 - 부스터펌프 - 선택, 차단밸브 - 엔진 주 연료펌프
② 가스터빈 : 엔진 주 연료펌프(LP) - 오일쿨러 - 필터 - 주 연료펌프(HP) - FCU - FFI - p&d밸브 - 매니폴드 - 연료노즐
③ 왕복엔진 : 연료탱크 - 부스터 펌프 - 선택 및 차단 밸브 - 필터 - 주 연료 펌프 - 기화기 - 실린더
3) 연료계통 구성품
① 연료탱크 : 연료 공급, 보관
② 부스터 펌프 : 연료 가압해 주 연료펌프까지 보냄 / 연료탱크 하부 부착 / 증기폐쇄 방지
③ 차단밸브 : 비상 시 엔진으로 흐르는 연료 차단
④ 주 연료펌프 : 엔진 연소실로 공급 / 기어박스
⑤ 열 교환기 : 뜨거운 윤활유, 차가운 연료의 열 교환
⑥ 필터 : 연료계통 가장 낮은 곳, 불순물 걸러줌, 막히면 우회하는 바이패스 밸브 장착 / 카트리지(종이), 스크린(스텐 망), 스크린 디스크(강철 망) 형
⑦ FFI : 연료유량계
⑧ P&D : 1차 연료, 2차 연료, 기관정지 시 매니폴드나 노즐 잔여연료 드레인
⑨ FCU -> EFCU -> EEC(컴퓨팅) + HMU(미터링)로 발전 ->FADEC에 전달
2. 연료탱크
가. 연료 탱크의 구조, 종류
1) 구조
① 센터탱크 : 엔진으로 연료 보냄
② 메인탱크 : 엔진, APU로 연료 보냄
/ 레저버탱크 : 메인탱크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트랜스퍼 SYS 이용해 메인탱크로 이송 됨
③ 서지탱크 : 연료 과보급 시 보관하다가 메인으로 보냄 / 내외부 압력차 줄여줘 연료 잘 흐르게 해줌
/ 테일탱크 : 세로안정성 증가, CG조절 등의 목적으로 채움
④ 크로스피드밸브 : 평상시 닫혀있지만 다른 날개의 엔진에 공급할 때 사용
- 양쪽 날개 연료량 맞출 때
- 한쪽 엔진 고장 시
⑤ 트랜스퍼 밸브 : 탱크에서 탱크로 이송할 때 사용
⑥구성
- 벤트라인 : 내외부 대기압을 같게 유지해 구조를 보호, 연료 잘 공급
- 섬프 : 하부에 불순물 가라앉는 곳
- 드래인 밸브 : 섬프에서 침전물 제거
- 베플 : 연료의 급격한 이동 방지
- Jettison sys : 비상시 MLDW 이하로 줄이기 위해 공중에서 유증기 상태로 배유
⑧ 급유 : 메인탱크-서지탱크-센터탱크
⑨ 사용 : 센터탱크-메인탱크-서지탱크
2. 종류
① Bladder : 열가소성 재료, 장착시 클립으로 주름펴진 상태로 장착
② rigid removable : 스테인리스, 알루미늄 합금, 장탈 가능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
③ Integral : 동체, 날개를 사용해 공간확보하고 실란트로 밀폐
나. 누설(leak)시 처리 및 수리방법
1) 종류
① 얼룩(stain) : 3/4in 이하
② 스며나옴(seep) : 3/4~1.5in
③ 샘(heavy seep) : 1.5~4in
④ 흐름(running leak) : 비행 중단, 수리
2) 수리
① 누설 의심부에 비눗물 바르고 탱크에 압력 가해 기포 확인
② 실란트 제거, 솔벤트 청소, 실란트 바름
③ 큐어타임 지키고 누설 점검
다) 탱크 작업 시 안전 주의사항
① 연료 배유
② 퍼징 : 독성가스, 유증기 증발시켜 작업할 수 있는 환경 만듦
③ 정전기 일으키지 않는 작업복, 방독면 착용
④ 탱크 밖 감시자 배치
⑤ 탱크 안 연속적 통풍
⑥ 수리
⑦ 소화기 비치
'항공기 기체 및 발동기 > 3. 항공기 정비작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바. 추진 계통(ATA 61 Propellers/Propulsors) (2) | 2024.07.18 |
---|---|
마. 착륙 장치 계통(ATA 32 Landing gear) (1) | 2024.07.18 |
라. 유압 계통(ATA 29 Hydraulic power) (0) | 2024.07.18 |
나. 조종 계통(ATA 27 Flight controls) (0) | 2024.07.18 |
가. 기체 취급 (0) | 2024.07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