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시운전 절차(engine run up)
가. 시동절차 개요 및 준비사항
1) Run up 전 준비
① 해당 기종 메뉴얼 준수
② 소화계통 작동상태 점검
③ 화재 대비 소화기 비치
④ 엔진 흡입구 주변 FOD 점검
⑤ RPM, EGT, 오일압력, 연료흐름 지시값 확인
⑥ 지상 감시자와 통신수단 구축
⑦ 고정핀, 초크, 브레이크 걸기
⑧ 주기 시 바람부는 방향으로 기수
⑨ 각종 오일 양, 누설 점검
나. 시운전 실시
① 압축공기로 공기터빈식 시동기에 터빈 돌려 (지상장비 GPU, Air start unit, APU 등 압축공기 제공)
② 터빈이 회전해 액세서리 기어박스 돌려 (엔진구동발전기, 엔진구동펌프로 전력 유압 얻음)
③ 기어박스와 연결된 HPC돌며 N2회전
④ N2 25% EGT 상승하는지 확인
⑤ 관성으로 N1회전
⑥ LPC돌며 연소에 필요한 공기 흡입
⑦ N2가 일정 회전수 되면 연료 공급
⑧ 엔진이 자립회전속도(N2가 60%) 도달하면 시동기 분리
다) 시운전 도중 비상사태 발생시(화재 등) 응급조치 방법
1) 화재발생 시
① 엔진 내부 화재 시 연료밸브 차단 후 드라이 모터링
② 그래도 안꺼지면 드라이 모터링 하며 인렛으로 이산화탄소 쏨
2) 비정상 작동
① 과열시동(Hot start) : EGT가 허용 한계치 초과 / FCU고장 결빙, 압축기 실속이 원인
② 결핍시동(Hung start) : 자립회전속도에 도달하지 못해 / 시동기 동력 불충분이 원인
③ 시동불능(No start) : 규정 시간 내 시동 걸리지 않음 / 점화계통, 스타터 원인 / EGT,RPM상승으로 확인
④ 재시동 시 드라이모터링 필수
라) 시운전 종료후 마무리 작업 절차
1) 시운전 후
① 엔진 완전 정지까지 접근 금지
② 항공기 전체 WAI
③ 흡기 배기 연료 오일 누설 확인
④ 각 계통 필터 확인
⑤ 주변 정리
2. 동절기 취급절차(cold weather operation)
가. 제빙유 종류 및 취급 요령(주의사항)
1) 종류
① Type 1 : 오렌지 / 제빙에만 사용 / 얇은 막 형성
② Type 2 : 백색 / 4와 성분 비슷 / 방빙액, 많은 눈에 사용 / 두꺼운 막 형성
③ Type 3 : 녹색 / 1,2의 중간정도 방빙액 / 100노트 미만 항공기에만 사용
④ Type 4 : 미정 / 2와 성분 비슷 / 방빙 지속시간 가장 긺 / 두꺼운 막 형성
나. 제빙유 사용법(혼합율, 방빙 지속 시간)
1) 유효기간
① 밀폐 : 2년
② 가열x 희석 : 6개월
③ 가열 원액 : 3개월
④ 가열 희석 : 2주
2) Hold over time
① 방빙이 지속되는 시간을 의미
3) 사용법
① 원스텝 : 제, 방빙 후 얼음이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 할 때 type 4 사용해 제방빙
② 투스텝 : 높은 방빙 지속시간이 필요할 때 / de-icing type1 / anti-icing type4
다. 제빙작업 필요성 및 절차(작업안전 수칙 등)
1)필요성
① 강우 강설 고고도 장시간 비행 시 연료탱크 서리
② 눈 위 활주시 바퀴다리 얼음
③ 표면 얼음 눈 서리는 성능에 영향
2) 절차
① 젖은 눈 : 부드러운 솔, 고무청소기
② 마른 눈 : 찬공기로 불어날려 보내
③ 얼음 : 제빙액
④ 모든 돌출부, 배출구 손상 검사
라. 표면처리(세척과 방부처리) 절차
1) 제빙/방빙 작업
① 직분사 금지 구역은 피해서 분사(인렛 코어, 캐빈 윈도우, 브레이크, 휠, 배기, 피토관 등)
② 사용량을 최소화 하기위해 스킨 가까이 분사
2) 작업 후
① 마스킹, 커버 제거
② 돌출부위 손상점검
③ 피토 정압 계통 누수, 플랩 등 물 교임 확인
④ 동익 움직임 확인
3) 세척
① 연마 : 수동연마, 기계연마
② 습식 : 오일, 그리스, 탄소부착불 등의 오물 제거 / 고압의 물 분사, 유제 클리너
③ 건식 : 스프레이, 자루걸레, 천
④ 그늘진 곳 수행
⑤ 수분 침투할 수 있는 부분(피토관 등) 커버 씌움
3. 지상운전과 정비
가. 항공기 견인(towing) 일반절차 (ATA 09 Towing and Taxiing)
1) 토잉 : 견인차로 이동
① 작업자 배치(앞부분 감시자는 조종실과 소통, 견인 차량운전자와 조종실은 브레이크 대기, 셋다 관제탑과 통신, 날개와 후방도 배치함 최소6명)
② APU, GPU로 전원 공급
③ 각종 핀 장착(그라운드 락 핀, 스티어링 바이패스 핀)
④ 토잉 바 연결(시어 핀 장착)
⑤ 관제탑 허가
⑥주변 검사 하고 브레이크 해제하고 견인 (8km/h)
⑦도착 후 파킹 브레이크, 고임목, 토잉바와 바이패스핀 제거
*그라운드락핀 : 랜딩기어 접힘 방지
스티어링 바이패스 핀 : 방향조종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
쉐어 핀 : 토잉 바 파손 위험 시 핀 절단
나. 항공기 견인(towing)시 사용 중인 활주로 횡단 시 관제탑에 알려야할 사항
1) 활주로, 유도로 횡단하여 이동시킬 때 관제탑과 교신하여 승인 받고 이동
다. 항공기 시동시 지상운영 taxing의 일반절차 및 관련된 위험요소 방지절차
1) 착륙 후 주기장 들어올 때 정확한 유도 제공
2) 조종사, 항공정비사만 유도 가능
라. 항공기 시동시 및 지상작동(towing 포함) 상황에서 표준 수신호 또는 지시봉(light wand) 신호의 사용 및 응답방법
마샬링 암기
'항공기 기체 및 발동기 > 3. 항공기 정비작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. 발동기 계통(ATA 71 Power plant, 72 Eng) (0) | 2024.07.19 |
---|---|
바. 추진 계통(ATA 61 Propellers/Propulsors) (2) | 2024.07.18 |
마. 착륙 장치 계통(ATA 32 Landing gear) (1) | 2024.07.18 |
라. 유압 계통(ATA 29 Hydraulic power) (0) | 2024.07.18 |
다. 연료 계통(ATA 28 Fuel) (0) | 2024.07.18 |